열려랏! 코-컬처 시대

열려랏! 코-컬처 시대

  • 황인선
  • 승인 2019.03.21 0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백화점 수트걸 퍼포먼스 / 사진 제공 : 춘천마임축제
현대백화점 수트걸 퍼포먼스 / 사진 제공 : 춘천마임축제

매드(M@D) 타임스가 드디어 오는 걸까? 문화에 매드(Mad)한 타임스!

현대카드 시티 브레이크와 KT&G 상상마케팅 등은 한국 마케팅에 새 차원을 열었다. 굿. 그러나 그러한 기업 활동은 아직 지역의 새로운 문화경제 솔루션 역할을 하는 축제와는 전략적으로 링크되지 않고 있다. 있어도 단순 후원 수준이다. 아직 매드하지 않은 축제1.0시대인 것이다. 기업 광고비가 연 12조원인 한국. 축제와 기업이 서로를 변형하는 수준으로 만나는 축제2.0 시대는 가능할까?

코- 컬처(Co-Culture)

2017년 모 축제 팀이 현대백화점의 콜라보 제안을 받았다. 축제 팀은 망설이다가 제안을 받아들였다. 타깃 때문에 고심을 하다가 새롭게 기획을 했다. ▲축제에 오는 관객은 축제 참가가 목적이지만 백화점 고객은 쇼핑이 목적이다. 시간도 정해져 있다. 공연을 눈팅만 하면서 스쳐갈 가능성이 크다. 이동 형, 가벼운 공감, 순간 주목도가 있어야 한다. ▲ 럭셔리 진상도 많겠지만 와우! 체험을 찾는 연인, 가족(엄마와 아이)도 많을 것이다. 점원도 소중한 고객이다. 그들에게 뜻밖의 체험을 주고 싶다. 이상 두 가지를 염두에 두고 그 축제만의 정체성을 믹스해 만든 것이 ‘수트 맨, 수트 걸’퍼포먼스였다.

현대백화점 수트맨 퍼포먼스 / 사진 제공 : 춘천마임축제
현대백화점 수트맨 퍼포먼스 / 사진 제공 : 춘천마임축제

전자는 독특한 수트(Suite)를 입은 무용수 남자, 여자 각 1쌍이 로비 등에 마네킹처럼 있다가 음악이 시작되면 서서히 깨어나 이동을 하면서 고객들과 인터랙티브 퍼포먼스를 한다. 음악은 동시대 샹송. 루이뷔통 매장에 천연덕스럽게 로봇 워킹으로 들어가 1000원짜리 지폐를 꺼내 옷을 달라는 마임을 하고 커피숍에서 500원을 주면 점원이 좋아라 커피를 준다. 점점 참가자가 따라다니기 시작한다. 외국인, 어린이 엄마가 많고 커플들 셀카 셀카...점원들 시선 집중, 역시 럭셔리 족은 눈팅 스쳐간다. 빨간 장미를 정중하게 아이와 엄마, 연인들에게 선물한다. 이 공연은 그 해 최고 반응 공연으로 꼽혔다. 압구정 포함 전국 10여개 이상 지점에서 2년 했는데 반응이 꽤 좋았다. 현대백화점과 메세나 협약도 맺었다.

이 주관단체는 (사)춘천마임축제로 이것을 ‘코-컬처(Co-Culture)’라고 부른다. 원래 생물학용어로서 샬레에 2종의 세포를 혼합 배양하거나 식물세포와 미생물 또는 2가지 형태의 식물세포의 집단을 간호 배양하는 ‘공생(共生) 배양’의 뜻이다. 이 인재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코-컬처를 한국 축제의 새로운 미래로 기대한다.

열려랏! 1사 1축제 시대

축제 총감독 겸 마케터, 공익마케팅 그룹 ‘퍼브23’의 멤버로서 나는 축제가 기업과 두껍게 링크되길 바란다. 기업이-롯데와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하이원과 춘천마임축제 관계처럼- 축제에 일정 금액을 후원하고 홍보를 하는 것은 축제1.0버전이다. 물론 기업은 회사원, 고객, 협력사를 초대해서 축제를 사은하고 직원들은 자원봉사 체험을 할 수 있다. 일본 하카다 기온 야마카사(山笠) 축제는 지역기업 직원이 축제 팀에 자원하면 휴가를 인정해준다. 여기서 더 나아가 축제 측은 그들이 가진 재능과 공연 아이템을 이용해 기업 매장, 회사 로비, 공장 등에 찾아가서 임직원과 주민대상 공연을 하고 직원들의 예술성 자극 교육 그리고 런던예술대학 G 쉬우마 교수가 주장하는 ‘예술가치 맵 9개’(예술 모방과 자극에서 조직문화 변형까지)로 확대 심화할 수 있다. 이게 축제2.0시대의 코 컬처다. 경영, 브랜드 새 이론들도 이를 촉구한다. 마이클 포터 교수의 공유가치 창출(CSV), 스티븐 오버먼의 『양심경제』에서 “의미 있는 신념을 상징하지 못하는 브랜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진단, 서울대 김상훈 교수의 『진정성 마케팅』등은 흥과 예술을 공유하는 1사1축제 링크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우선은 지역 음악제, 연극제, 유등축제, 거리예술제 등 예술축제들과 코-컬처가 가능하다. 별도 예산은 필요 없다. 한국기업들의 연 광고비 12조 원의 0.5%인 600억만 코 컬처로 돌리면 기업 윈, 축제 윈, 사회 윈... 3WIN하고 한국은 문화링크 모범국가로 거듭날 것이다. 그러니 열려랏! 축제 2.0시대, 코 컬처 코리아!

 


황인선 전 제일기획과 KT&G 근무. 현재 (사)춘천마임축제 총감독, (주)브랜드웨이 대표. 경희 사이버대 문화커뮤니케이션학부 겸임 교수. 중소벤처기업부 소통 분과위원장. 저서 <동심경영>, <꿈꾸는 독종>, <생각 좀 하고 말해줄래>, <컬처 파워> 등 다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