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섭 칼럼] 624년 만에 밝혀진 인류의 비밀 - 직지(直指) 그리고 BTS

[신인섭 칼럼] 624년 만에 밝혀진 인류의 비밀 - 직지(直指) 그리고 BTS

  • 신인섭 대기자
  • 승인 2021.09.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지심체요절

[ 매드타임스 신인섭 대기자] 10월 19일에 중북 청주시 흥덕사가 있는 <고인쇄(古印刷) 박물관>에서는 전시회가 열린다. 흥덕사는 지금으로부터 644년 전인 1377년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 <직지(直指)>가 인쇄된 곳이다.

청주 고인쇄 박물관, 그리고 <직지>란 금속 활자 책은 우리에게 그리 낯익은 이름이 아니다. 흔히 금속활자 인쇄의 시작은 독일 구텐베르크가 1455년 금속활자로 인쇄한 42자 성경이라고 배워 왔기 때문이다. 하기야 나무랄 것도 없을지 모른다. 유네스코(UNESCO)에서 공식으로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라고 발표한 것이 2001년 즉 겨우 20년 전이었으니까.

구텐베르크의 42행 성경

역사적인 사실(史實)은 고려 말 1377년에 고승 백운화상(白雲和尙)이 세계에서 가장 먼저 금속활자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구텐베르크보다 78년 전에 출판했다. 이 역사적인 사실이 밝혀진 것은 2001년이었다. 그 해에 유네스코는 직지를 세계기록 유산(Memory of The World Register)으로 등재했다. 말하자면 <직지> 책 출판 624년 후에 이런 사실을 세계가 공인한 것이다. 잘못은 이런 사실을 600여 년 동안 모르고 있던 우리에게 있었다. 매우 다행한 것은 이런 사실을 밝혀낸 분이 한국인이었다는 것이다. <하느님이 보우하사...>란 말이 나온다.

<직지(直指)>란? 흔히는 줄인 말 <직지>라 부르지만 제대로 쓰면 <백운화상 초록 불조 직지 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 된다.

간단히 풀이자면 쓰신 분의 이름은 <백운(白雲)>이니 흰 구름이요, 오랜 동안 도를 닦은 스님이므로 백운화상(白雲和尙)>이라 부른다. 초록이란 필요한 대목만을 간추린 글이라 뜻이며, <불조직지심체>는 불도를 깊이 닦은 사람의 마음을 바로 볼 때 그 마음의 본성이 곧 부처님의 마음이라는 뜻이라 한다. 인도와 중국의 승려 145명의 글 가운데 골라서 모은 책이므로 초록이라 했는데 독실한 비구니 묘적이란 분의 도움으로 출판한 책이다.

이 소중한 책은 상하권 두 권으로 인쇄되었으나 지금 남아 있는 것은 하권뿐이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아닌, 프랑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 이유는 19세기 말 한국이 개항한 뒤 프랑스 대사관의 공사로 있던 콜린 드 플랑시(Collin de Plancy)가 귀국할 때에 가지고 간 수집품 가운데 들어 있던 <직지>는 그 뒤 고서적 판매상의 손을 거쳐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기증되었다.

624년 만에 유네스코의 공식 발표로 <직지>가 제자리를 찾기까지에는 한평생을 우리 것 찾기에 바친 재외 한국 여성학자 박병선 박사의 눈물겹고 끈질긴 노력이 있었다. 박병선은 1955년 서울대학 사범대학을 나와 프랑스로 유학길을 떠났다. 박병선은 대학 은사 이병도(李丙燾) 교수의 부탁을 잊지 않고 있었는데, 1866년 병인양요 때 강화도를 침략한 프랑스군이 약탈해 간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의 행방을 찾아 보라는 것이었다. 부지런히 도서관을 드나드는 박병선을 눈여겨보던 도서관 측은 1967년 그를 사서로 채용했는데 박병선이 의궤 찾기 5년 만에 발견한 것은 의궤가 아니라 <직지심체요절>이었다. 직지심체요절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72년 프랑스 도서관이 주최한 "이 해의 국제 도서전"이었고, 비로서 수년에 걸친 박병선의 노력이 빛을 보았다. 3년 뒤 베르사유 궁전 분관 창고의 고서 뭉치에서 의궤(儀軌)를 찾은 뒤 한국으로 <영구 대여>된 것은 또 다른 30년이 흐른 2011년이었다.

고인쇄박물관 전경
고인쇄박물관 전경

직지 고인쇄 박물관 이름을 바꾼다고? 금년 봄, 30년 지켜 온 이 박물관의 이름을 바꾼다는 소식이 나왔다. 그러자 이번에는 10월 중순에 우리 광고의 역사를 주제로 한 전시회를 한다는 말을 들었다. 세계가 온통 디지털 시대인데 <고인쇄>란 이름이 고리타분해서 그럴까 했다. 그러다가 금속 글자의 목적이 무엇이며 그것이 우리와 관계 특히 광고와 어떤 관계일까를 생각하게 되었다.

로제타 스톤 책자 및 스톤
로제타 스톤 책자 및 스톤

모두 아는 대로 광고의 시작은 글이었다. 세계 광고의 효시라는 이집트의 <로제타의 돌>(지금은 대영박물관에 전지)도 상형문자, 민용 문자 그리고 그리스어의 3개 글이다. 중국이 국보처럼 자랑하는 북송시대(960-1127)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는 그림이지만 그 이름 속에 수두룩한 간판에는 모두 글자가 있다. 일본의 오랜 광고는 히끼후다(引札) 혹은 노렌(暖簾)인데 역시 글자와 그림이다.

청명상하도 상점 간판(위)과 소아과(小兒科) 간판(아래)
이끼후다 및 노렌

지금은 소리, 그림, 동영상이 더욱 중요해진 것은 사실이나 글이 없는 광고란 거의 없다. 그러고 보면 광고는 글을 가장 자주 널리 많이 전파하고 있다.

<직지심체요절>은 부처님 말씀을 전하는 책이지 광고 책은 아니다. 다만 이 책에 쓰인 글의 목적이 부처님 말씀을 널리 꾸준히 알리고자 하는 것, 즉 광(廣)하게 고(告)하려는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다.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종교이든 정치이든 문화이든 무슨 일이든지 알리지 않고서는 존재할 수가 없는 디지털 스마트폰 시대가 되었다.

우리나라 신문이 매년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정한 것은 1896년 4월 7일에 서재필 박사가 한글로 독립신문을 창간한 날이기 때문이다. 한국 최초의 민간 신문 독립신문 창간호 1면 첫 글의 제목은 <광고>이다.

독립신문 창간호 1면
독립신문 창간호 1면

지난 수년 사이에 한국은 <강남 스타일>, <기생충>, <미나리> 그리고 9월 유엔 총회에서 다시 이름을 날린 BTS를 낳았다. 4년 전 한글 박물관은 거의 반년 동안 <광고의 힘>이란 전시회를 했다. 아무도 눈 돌리지 않던 광고에 나타난 한글의 변천을 처음으로 발굴한 것이었다. 광고 언어뿐이 아니라 글자체도 조사했다.

"광고언어의 힘" 전시회 포스터

백운화상의 <직지>가 미친 영향을 구텐베르크의 42행 성경과 비교하기는 힘들다.

다만 <고인쇄박물관>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신선한 시각을 제시한다. 그것은 130여 년 동안 이국땅 고문서 뭉치 속에서 폐기될 뻔한 세계 문화유산 <직지>를 찾아낸 한국 민족의 슬기의 부활이라고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BTS의 다음 노래 제목은 <Jikji> 면 어떨까?

 ※ 박병선 박사는 1970년대 중앙정보부가 구미 유힉생을 귀국시킨 후 거치게 다루는 것을 알고 귀국을 거부함. 박병선에 관한 자료는 많이 있음. 10여년 간 <직지>를 연구한 결과,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프랑스에서 출판하지 못하고 후에 한국 정부지원으로 한국에서 출판함.

 


신인섭 (전)중앙대학교 신방대학원 초빙교수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