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모니터]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오히려 ‘사회시스템’과 ‘국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

[트렌드모니터]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오히려 ‘사회시스템’과 ‘국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

  • 신성수 기자
  • 승인 2020.04.10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전국 만 15세~64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가 재난 상황’ 및 ‘재난문자 서비스’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국민들에게 사회시스템과 국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재난문자’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그 필요성에 많이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코로나19’ 사태가 사회시스템과 국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나

10명 중 6명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의 ‘국민성’을 긍정적으로 돌아보게 되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우리나라의 사회시스템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아 보였다. 전체 10명 중 7명(68.8%)이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의 사회시스템이 다른 나라 못지 않게 안정화됐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응답한 것으로, 특히 40대~50대 중년층(10대 58.2%, 20대 64.5%, 30대 66.7%, 40대 71.3%, 50대 77.2%, 60대 69.2%)과 진보성향 응답자(진보 89.5%, 중도 진보 78.9%, 중도 보수 57.8%, 보수 50%)가 사회시스템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태도가 뚜렷했다. 이와 더불어 정부 지침을 준수하는 국민들의 의식수준도 높게 평가하는 모습이었다. 10명 중 6명(61.4%)이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국민성’을 긍정적으로 돌아보게 되었다고 응답한 것이다. 연령이 높을수록 국민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10대 50.9%, 20대 54.6%, 30대 60.2%, 40대 60.9%, 50대 72.8%, 60대 69.2%)가 많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국민성은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응답(26%)은 적은 편이었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는 인식이 커진 모습, 반면 기존에 선진국이라고 생각했던 나라들에 대한 환상은 깨져

전체 65.1%가 “코로나를 겪으면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발전된 사회라고 느꼈다”

우리나라를 ‘선진국가’라고 느끼는 사람들도 많아진 것으로 보여졌다. 전체 응답자의 65.1%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사회가 다른 나라보다 더 발전된 사회라는 것을 느꼈다고 응답했으며,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잘 종식되면 그 어느 나라보다 선진국이라는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의견이 63.7%에 달한 것이다. 대체로 고연령층일수록, 그리고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우리나라야말로 선진국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었다. 반면 아직 우리나라는 선진국까지 갈 길이 멀었다고 바라보는 시각(24.3%)은 적었다. 오히려 대다수(66.5%)는 유럽 등 우리가 기존에 선진국이라고 인식하던 국가들이 결코 선진국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만큼 우리나라가 다른 어떤 나라보다 이번 코로나19 사태에 슬기롭게 대응하고, 잘 극복해나가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전체 64%는 새삼 한국 국민이라는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까지 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런 생각은 연령에 관계 없이 비슷한(10대 65.5%, 20대 61.2%, 30대 59.1%, 40대 67.8%, 50대 69.4%, 60대 60.4%) 수준이었다. 다만 사회시스템과 국민성, 국가에 대한 평가와는 달리 ‘정부 역할’에 대한 평가는 다소 엇갈리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2명 중 1명 정도(47.5%)가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정부 정책에 어느 정도 신뢰감을 느꼈다고 밝혔으나, 연령(10대 34.5%, 20대 39.6%, 30대 49.7%, 40대 52.2%, 50대 57.8%, 60대 42.9%)과 정치성향(진보 78.4%, 중도 진보 60.2%, 중도 보수 32.4%, 보수 21.7%)에 따른 평가가 확연하게 나뉜 것이다. 주로 30대~50대, 진보성향 응답자가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감을 많이 드러내는 편이었다. 또한 우리나라가 외교문제에는 잘 대처하지 못한다는 생각(52%)도 비교적 많아 보였다.

 

‘재난문자’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매우 높아, 전체 92.2% “재난문자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신뢰한다”

무엇보다 신속하게 재난상황 파악할 수 있어서 신뢰, 다만 10명 중 6명 “재난문자 받을 때 불안감 느껴”

이번 코로나19의 확산은 ‘재난문자’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도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재난문자 서비스를 인지하고(97.2%), 최근 재난문자의 수신빈도가 증가했다(인지자의 87.2%)는 것을 체감하는 가운데, 기본적으로 ‘재난문자’ 서비스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92.2%가 신뢰가 간다고 응답한 것으로, 대체로 ‘신속하게’ 재난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50.1%, 중복응답), 피해규모와 감염자 수 등 재난상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44.1%)는 이유가 커 보였다. 또한 현재 위치 및 거주 지역의 상황을 알 수 있고(42.8%), 직접 찾아보지 않아도 재난 정보를 알 수 있다(35.9%)는 점 때문에 재난문자에 신뢰가 간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물론 국가에서 직접 재난상황을 관리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28.1%)을 주는 것도 재난문자 서비스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모습이었다. 반면 재난문자 서비스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소수의 사람들(5.5%)은 정작 필요한 정보가 없는 경우가 많고(56.4%, 중복응답), 재난문자가 너무 자주 온다(56.4%)는 지적을 주로 많이 했다. 물론 재난문자를 수신할 때 느끼는 불안감은 큰 편이었다. 재난문자 서비스 인지자의 61.4%가 재난문자를 받을 때 재난재해 상황에 대한 불안함을 느낀다고 응답한 것으로, 그만큼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고도 해석해볼 수 있다. 특히 여성(남성 56.2%, 여성 66.7%)과 30대~40대 연령층(10대 48.1%, 20대 60.7%, 30대 63.9%, 40대 65.5%, 50대 60.2%, 60대 58.8%)의 불안감이 큰 편이었다.

 

‘재난문자’의 필요성에 대부분 공감, 전체 81.4% “전국민적으로 가장 빠르게 재난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장치이다”

10명 중 7명 “국가가 재난문자 서비스를 통해 직접 재난상황을 관리하고 있는 것 같아 믿음이 간다”

‘재난문자’와 관련한 다양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 재난문자 서비스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81.4%가 재난문자는 전국민적으로 가장 빠르게 재난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장치라고 바라봤으며, 재난문자 서비스를 통해 재난 대처방법을 전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76.3%에 달했다. 또한 재난문자 서비스가 국민 안전의식에 경각심을 주고(74.4%), 긴급 재난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71.8%) 같다는 주장에 대다수가 공감하는 모습이었다. 주로 40대 이상 중장년층이 재난문자 서비스가 국민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고(10대 70.9%, 20대 64.8%, 30대 74.9%, 40대 77.8%, 50대 82.8%, 60대 79.1%),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는(10대 72.7%, 20대 66.3% 30대 66.7%, 40대 73.9%, 50대 80.6%, 60대 74.7%) 인식을 더 많이 내비쳤다. 반면 재난문자 서비스가 불필요하다고 느끼거나(3.1%), 지금보다 좀 더 줄어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20.6%) 사람들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다른 한편으로 재난문자 서비스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신뢰를 높여준다는 사실도 확인해볼 수 있었다. 10명 중 7명 정도가 국가가 재난문자 서비스를 통해 직접 재난상황을 관리하고 있는 것 같아 믿음이 가고(67.7%), 재난상황을 상세히 알려주는 지자체에 대해 신뢰도가 높아진다(68.4%)고 응답한 것으로, 특히 50대~60대에게서 이런 태도가 많이 보였다.

 

다만 48.4% “최근 재난문자가 너무 자주 발송돼”, 41.1% “빈번하면 오히려 재난상황을 안일하게 생각할 것 같아”

전체 66.3% “재난상황 관련 ‘가짜뉴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재난문자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야”

최근 코로나19 사태의 확산으로 재난문자를 수신하는 빈도가 잦아지다 보니 일부 재난문자를 번거롭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으로 보인다. 절반 가량(48.4%)이 최근 재난문자가 너무 자주 발송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가운데, 재난문자의 알림 소리가 시끄럽게 느껴진다고 말하는 사람들(36.6%)도 더러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3명 중 1명 정도는 재난문자를 받았을 때 정작 필요한 정보가 없는 경우가 있고(37.4%), SNS와 뉴스 등 다른 경로에서 재난상황을 더 빠르게 알려주는 것 같다(34%)면서, 재난문자 서비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재난문자가 빈번하면 오히려 재난상황을 안일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우려(41.1%)가 괜한 것만은 아니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재난문자 서비스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66.3%가 재난상황과 관련하여 ‘가짜뉴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재난문자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통신환경의 제한 없이 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10명 중 8명(81.7%)에 달한 것이다. 성별과 연령에 관계 없이 대부분의 시민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부분이었다. 이와 더불어 외국인과 디지털 취약계층 등도 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보완해야 한다는 주장(82%)도 상당히 많았다.

 

기본적으로 ‘재난문자’ 서비스를 신뢰하지만,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들(69.5%)은 많아

“구체적으로 보완 및 확대해야 하고, 재난 발생 직후 지체 없이 신속한 발송이 이뤄져야”

재난문자 서비스가 지금보다는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들(69.5%)도 많아 보였다. 향후 재난문자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전달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완 및 확대해야 하고(46.6%, 중복응답), 재난 발생 직후 지체 없이 신속한 발송이 이뤄져야 한다(45.5%)는 목소리가 주로 많이 나왔다. 현재 제공되는 재난문자가 다소 추상적이거나, 문자 수신이 늦게 이뤄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발송지역을 좀 더 세밀하게 나누고(26.8%), 긴급하지 않은 내용은 모바일메신저나 일반 메신저로 제공하고(26.6%), 무분별한 문자 발송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26%)는 의견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밖에 모바일메신저와 문자, 재난 알림 앱 등으로 발송 경로를 확대하고(23%), 외국인과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발송 서비스를 확대해야(19.1%) 한다는 목소리도 존재했다.

 

◆ 코로나19을 비롯해 여러 전염병 사례를 겪으면서, 바이러스의 전염을 심각한 ‘재난재해’로 인식하는 사람들 많아져

→ 한편 이번 ‘코로나19’뿐만 아니라 신종플루와 사스, 메르스 등 최근 여러 전염병 사례를 겪으면서, 바이러스의 전염을 심각한 국가적 ‘재난재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재난재해를 묻는 질문에 미세먼지(75.6%, 중복응답)와 황사(59.5%), 태풍(58.6%), 화재/폭발사고(58.5%) 다음으로 경로 미상의 ‘바이러스’ 확산(55.3%)을 꼽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가장 피해가 크다고 생각하는 재난재해로 경로 미상의 바이러스 확산(55.9%, 중복응답)을 첫 손에 꼽은 것이다. 경로 미상의 바이러스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국가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재난재해(57.8%, 중복응답)이기도 했다. 그만큼 코로나19가 크게 확산되고,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볼 수 있다.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은? ‘찬성’ 의견(60.3%)이 ‘반대’ 의견(23.7%)보다 우세해

“생업 및 생계수단에 대한 피해가 가장 많기 때문에” vs. “국가재정에 악영향을 미칠 것 같아”

이런 맥락에서 살펴볼 때 최근 논의되고 있는 ‘재난기본소득’을 찬성하는 목소리가 우세한 것은 당연해 보인다. 현재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재난기본소득’(국민 모두에게 조건 없이 일정 금액의 돈을 나눠주는 것을 가정)이 추진되고 있는데, 전체 10명 중 6명(60.3%)이 도입에 찬성한다고 밝힌 것이다. 상대적으로 남성(남성 66%, 여성 54.6%)과 40대~50대(10대 58.2%, 20대 54.9%, 30대 52.6%, 40대 67%, 50대 70.6%, 60대 54.9%), 자영업자(67.9%)와 프리랜서(70.8%), 진보성향 응답자(진보 76.6%, 중도 진보 65.7%, 중도 보수 54.2%, 보수 50.9%)의 찬성 의견이 많은 편이었다. 반면 재난기본소득에 반대하는 주장(23.7%)은 상대적으로 보수층(진보 12.9%, 중도 진보 21.4%, 중도 보수 29.3%, 보수 34%)에서 두드러졌다. 기본적으로 재난기본소득의 도입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생업 및 생계수단에 대한 피해가 가장 많은 상황(52.2%, 중복응답)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46.9%)으로 재난기본소득을 바라보는 모습이었다. 또한 가장 피해가 막심한 저소득층을 도울 수 있고(34.2%), 경기침체에 가장 효과적인 정책일 수 있다(30.8%)는 이유로 재난기본소득의 도입을 찬성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반면 재난기본소득의 도입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주로 국가재정에 악영향을 미칠 것 같고(56.1%, 중복응답), 세금 부담이 더 커질 것 같다(54.4%)는 우려를 많이 표명했다. 결국 세금을 더 많이 거두게 될 것이라고 걱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선거를 앞둔 선심성 정책이라는 생각(45.6%)도 적지 않아 보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